5G
editor_ 김정준 과장, 노상균 대리
SCROLL DOWN
세계 최초 ‘5G’ 시대를 열다
KT는 2015년 3월 3일, MWC 2015에서 ‘Road to 5G’라는 비전을 발표하며, 5G를 전 세계적인 ‘화두’로 처음 언급하였음. MWC 2017에서는 세계적으로 2020년을 목표로 하고 있던 5G 상용화 시점을 2019년으로 앞당긴다고 발표하며 세계를 놀라게 하였음. KT는 2015년부터 삼성전자, 에릭슨 등 글로벌 장비 업체들과 협력하여 결국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세계 최초 5G 시범 서비스, 2019년 4월 4일 세계 최초 5G 상용화에 성공하였음
<KT 5G History>
일시 | 내용 |
---|---|
2015.03.03 | MWC 2015, KT ‘Road to 5G’ 비전 선포 |
2018.02.09 | 세계 최초 5G 평창동계올림픽 |
2018.02 | 평창, 강릉 일대 세계 첫 5G 자율협력주행 성공 |
2018.12.01 | 통신3사, 5G 첫 전파 송출 |
2019.04.03 | KT, 업계 최초 5G 데이터무제한 요금제 출시 |
2019.04.04 | 통신3사, 세계 최초 5G 상용화. 1호 가입자 탄생 |
2019.04.05 | 5G 커버리지맵 최초 공개 |
2019.04.30 | 세계 최초 ‘기업전용 5G’ 서비스 출시 |
2019.05.12 | KT-현대중공업 스마트팩토리 사업 추진 협력 |
2019.10.31 | 세계 최초 28GHz 기업전용 5G 기술 개발 |
2019.10.22 | KT-현대모비스, 5G 자율주행 기술 공동 개발 협력 |
2020.01.14 | KT-삼성서울병원, 세계 첫 5G 스마트혁신병원 출범 |
세계 최초 5G 올림픽 ‘2018 평창동계올림픽’
KT는 에릭슨, 삼성전자 등과 5G 기지국 장비를 테스트하고, 5G 표준 규격 ‘평창 SIG’를 정립하였음. 또한, 5G 기반의 실감형 서비스인 타임슬라이스, 싱크뷰, 옴니뷰를 비롯하여 5G 자율협력주행과 같은 앞선 기술로 평창올림픽의 감동을 전 세계에 전달하였음
그 결과, KT가 평창올림픽에서 선보인 5G 기술의 85%가 국제 5G 표준에 반영되는 엄청난 성과를 거두었으며,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2019년으로 앞당기는 토대를 마련했음
왜 KT 5G인가?
1. 데이터무제한 요금제
KT는 2019년 4월 5G 상용과 동시에 업계 최초로 5G 데이터무제한 요금제 ‘슈퍼플랜‘을 출시하였음. 경쟁사들이 데이터 정량 요금제를 출시한 데 반해 KT는 진정한 5G 시대를 선언하며 데이터무제한 요금제를 선보였고, 타사 역시 뒤늦게 무제한 요금제 프로모션을 진행하였음
KT 전체 가입자의 82%가 무제한 요금제를 이용할 정도로 반응이 좋으며, 5G 무제한 요금제 이용자의 평균 트래픽이 32.3GB로 5G 전체 평균 트래픽 26.4GB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남
2. 5G 커버리지
KT는 업계 처음으로 5G 커버리지맵을 공개하고, 기지국 장비 수, 개통 장비 수, 무선국 신고 수, 제조사별 기지국 수 등을 일 단위로 투명하게 오픈하고 있음.
현재 KT의 기지국 장비수는 86,324식으로 통신 3사 중 가장 많은 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5G 품질의 중요한 요소인 인빌딩 구축 현황도 매일 업데이트 하고 있음
지역별
단위 : 개수
구분 (4월 22일 기준) |
기지국 장비 수 | 무선국 * 신고 수 |
|
---|---|---|---|
구축 장비 | 개통 장비 | ||
전국 | 86,324 | 73,411 | 43,403 |
서울 | 23,309 | 18,389 | 10,944 |
수도권(인천 포함) | 24,062 | 20,516 | 12,195 |
강원도 | 2,335 | 2,335 | 1,438 |
충청도(대전 포함) | 7,579 | 7,088 | 3,934 |
전라도(광주 포함) | 6,582 | 6,018 | 3,339 |
경상도(부산,대구,울산 포함) | 21,501 | 18,243 | 11,083 |
제주도 | 953 | 822 | 470 |
* 무선국 : 동일 장소에 설치된 여러 개 장비를 한 개 무선국으로 합쳐서 관리
제조사별
단위 : 개수
구분 (4월 22일 기준) |
기지국 장비 수 | 무선국 * 신고 수 |
|
---|---|---|---|
구축 장비 | 개통 장비 | ||
삼성 | 63,392 | 51,738 | 31,309 |
엘릭슨엘지 | 10,921 | 9,618 | 5,213 |
노키아 | 12,011 | 12,001 | 6,881 |
인빌딩 커버리지 현황
- 4월 2주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광주점 등 인빌딩 기지국 개통 완료
- KTX 서울역, 신촌 현대백화점 외 누적 561개 건물 KT 5G 서비스
3. 5G 엣지 통신센터
KT는 국내 최다인 8개 엣지 통신센터를 전국 주요 8개 도시에 구축하여 5G 품질 리더십을 확보하고 있음. 사용자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최대한 사용자와 가까운 곳에서 처리하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y Computing)을 통해 지연 시간을 최대 44% 감축하였음
4. 5G C-DRX(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2017년 KT가 국내 최초로 LTE 전국망에 적용한 C-DRX는 스마트폰 모뎀과 통신사 기지국간 데이터 송수신 주기를 최적화하는 네트워크 기술을 통해 배터리 사용시간을 극대화하는 기술임. KT는 5G 상용과 함께 5G C-DRX를 선보였으며, 실제 갤럭시S10 5G 모델로 동일한 환경에서 동일 서비스(유튜브 동영상 스트리밍)를 이용해 테스트한 결과 배터리 사용시간이 최대 7시간 24분에서 10시간 31분으로 약 3시간 이상 증가하였음
5. CUPS(Control & User Plane Separation)
KT는 국내 최초로 CUPS 구조의 5G 코어장비와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을 개발하였음. 3GPP 국제 표준에서 정의하는 CUPS 기술은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장치와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담당하는 장치를 분리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구축하고 확장할 수 있는 기술임. 이를 통해 엣지 컴퓨팅 구현은 물론 향후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 5G SA 규격을 수용할 수 있는 확장성을 확보하였음
6. 최다 5G 특허 보유 통신사
독일 지적재산권 전문 분석업체 아이플리틱스(Iplytics)의 발표에 따르면 KT는 42개의 5G 패밀리 특허를 출원하였음. 패밀리 특허는 자국을 포함한 미국, 유럽 등 여러 국가에 출원되어 보호받는 글로벌 특허를 의미함. KT는 이 중 5건을 승인 받아 글로벌 통신사로서 유일하게 5G 특허를 보유한 기업임
구분 | 5G 패밀리 특허 출원 수 | 5G 특허출원 후 경과 시간 | 2012년 이전 5G 출원 비중 |
---|---|---|---|
|
2,160 | 5.61 | 12.13% |
|
1,516 | 11.42 | 57.45% |
|
1,424 | 3.06 | 0.49% |
|
1,359 | 6.99 | 43.05% |
|
1,353 | 8.63 | 47.89% |
|
1,058 | 8.36 | 33.74% |
|
921 | 10.40 | 36.26% |
|
660 | 6.56 | 29.55% |
|
618 | 4.74 | 0.16% |
|
552 | 2.96 | 0.00% |
|
222 | 4.23 | 15.77% |
|
48 | 9.75 | 23.26% |
![]() |
42 | 1.58 | 0.00% |
|
30 | 7.69 | 23.33% |
* 출처: IPlytics Platform, July 2019
KT 고객의 일상에 자리 잡은 5G 서비스는?
narle(나를)
리얼360
5G스트리밍게임
KT, 5G의 ‘꽃’ B2B 영역의 ‘First Mover’
KT 경제경영연구소의 ‘5G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5G가 만들어낼 사회경제적 가치가 2030년까지 최소 47.8조원에 달함. KT는 초고속, 초저지연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5G가 제조, 물류 등 산업현장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주목하고, B2B 분야 Use Case 발굴에 주력하였음. KT는 현재 삼성전자, 삼성서울병원, 현대중공업, 현대모비스, 소방청, 해군사관학교 등 국내 최다인 53개의 기업전용 5G 파트너社와 150개의 B2B Use Case를 확보하는 등 B2B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5G ‘2020’
KT는 올해 5G 가입자 목표를 전체 모바일 가입자의 25-30% 수준으로 설정하였음. 3.1조원의 투자규모를 확정하고 전국 85개 주요 도시의 동 단위 5G 지상 커버리지를 확보할 계획이며, 5G 품질 강화를 위해 인빌딩 구축도 지속 확대 예정임. 5G SA와 28GHz 대역의 5G 상용 등을 통해 진정한 5G 구현에 앞장선다는 계획임
- 5G 가입자 확대: 전체 모바일 가입자의 30%
- CAPEX 3.1조원
- 전국 85개시 동단위 커버리지 확보, 인빌딩 확대
- 5G SA(Stand Alone), 28GHz 대역 5G 상용
초고속 인터넷
editor_홍지원 차장, 노상균 대리
SCROLL DOWN
대한민국을 ICT 강국으로 이끈 ‘초고속 인터넷’
지난 1999년, 우리나라에 초고속인터넷이 보급된 이후 20여년이 지남. 이후 초고속인터넷은 100Mbps를 초과하는 속도를 내는 FTTH로 업그레이드 되었고
`14년 10월 KT가 국내최초로 기가인터넷 상용화 선포. 기가인터넷은 초고화질(UHD) 1인 방송, 온라인 게임,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 혁신 등 인터넷 기반의 라이프 스타일을 형성하는데 큰 역할
* 기가인터넷: 최대 속도 100Mbps인 초고속인터넷보다 10배 이상 빠른 인터넷(최대 1Gbps 속도 제공)으로 우리나라 인터넷 혁신을 갖고 온 견인차
인터넷 상품 속도별 영상 다운로드 시간은?
KT는 `18년 11월 국내 최초로 10기가인터넷 상용화에 성공하였음. KT의 10기가 인터넷은 데이터를 올리거나 내려 받는 속도 모두 최고 10Gbps를 제공. 예를 들어 33GB 용량의 초고화질(UHD) 영화를 내려 받을 때 100Mbps 인터넷은 약 45분, 1기가 인터넷은 약 4분 30초, 10기가 인터넷은 약 30초 소요
*10기가인터넷: 기가인터넷보다 10배 빠른 인터넷으로 초고화질, AR 등 대용량 고품질의 서비스를 더욱 안정적으로 제공 가능
안정적인 인터넷 환경을 원한다면?
FTTH는 업로드와 다운로드 동일한 속도를 구현하여 ‘대칭형’이라 말하며, HFC 방식은 업로드 속도가 다운로드 속도의 약 1/8수준으로 ‘비대칭형’이라고 함. HFC 방식은 업로드 속도가 느리고 지연시간이 불규칙하게 발생하는 것이 단점. HFC방식은 업로드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각종 동영상 콘텐츠를 업로드하거나 1인 방송 등에는 FTTH방식이 적합. KT는 국내 통신사 중 광시설의 비중(59%)이 가장 높아 안정적인 인터넷 환경 구현
<인터넷 기술방식>
구분 | FTTH 방식 | HFC 방식 |
---|---|---|
정의 | 인터넷 공급자부터 가정까지 광케이블 | 집 근처까지 광케이블 연결 후, 동축 케이블로 가정까지 연결 |
통신선 | 광케이블 | 광케이블+동축케이블 |
인터넷 속도 |
100Mbps~10Gbps | 100~500Mbps |
데이터 손실률 |
낮음 | 높음 |
지연 시간 | 평균 10ms 미만 | 평균 20ms 미만 |
특성 | 대칭형(업로드속도=다운로드속도) | 비대칭형(업로드속도, 다운로드의 1/8) |
우리나라 초고속 인터넷 회선 현황
우리나라는 광케이블 기준 초고속인터넷 보급률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1위. `20년 2월 과기부의 <유선통신서비스 통계현황>에 따르면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는 총 2천 192만명으로 이중 KT 가입자 비중은 40% 이상
<초고속인터넷 회선 현황>
*과기부 `20년 2월 기준, 단위(명)
구분 | KT | SKBB | SKT (재판매) | LGU+ | 기타 | 합계 |
---|---|---|---|---|---|---|
회선(가입자)수 | 8,938,871 | 2,589,606 | 3,047,512 | 4,323,322 | 3,033,413 | 21,932,724 |
<초고속인터넷 회선 현황>
*과기부 `20년 2월 기준, 단위(명)
구분 | 회선(가입자)수 |
---|---|
KT | 8,938,871 |
SKBB | 2,589,606 |
SKT(재판매) | 3,047,512 |
LGU+ | 4,323,322 |
기타 | 3,033,413 |
합계 | 21,932,724 |
그렇다면 KT의 기가인터넷 가입자 비중은?
KT 기가인터넷은 지난`17년 5월 300만 가입자, `19년 3월 500만 가입자를 돌파하였음. 지난 `19년 4분기 말 기준, KT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약 896만 중 61%인 547만을 기록. 최근 3년간 기가인터넷 가입자 비중 추이를 보면, `17년 45%, `18년 56%, `19년 61%를 나타냄
여기서 잠깐! 스타벅스에서 10 GiGA 인터넷 속도를 즐겨보세요
KT는 고객이 10기가 인터넷의 속도와 혜택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체험공간을 구축하고 있음. 전국 스타벅스 리저브 매장 25개에 10기가 와이파이를 설치해 최고 4.8Gbps의 속도를 통신사에 관계없이 누구나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 KT는 10기가 인터넷의 전국 상용화를 국내 최초로 시작했으며, 메가 인터넷 대비 100배 빠른 속도로, 최고 속도는 10Gbps임. 한편 한국정보화진흥원(NIA)는 4월 9일, 10기가 인터넷활성화 촉진사업 공모를 통해 KT 등을 최종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한바 있음
미디어(올레tv+Seezn)
editor_권미희 과장, 변환 과장, 유석준 대리
SCROLL DOWN
2008년 국내 최초 IPTV 전국 상용화
2004년 실시간 방송이 없는 ‘홈앤TV’로 시작
2008년 11월 17일, 멀티캐스트 기술 기반 다채널 실시간 방송 서비스 및 VOD, 양방향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완전한 IPTV’ 서비스 국내 최초 개시
올레 tv 주요 성과
국내 최다 835만 가입자가 선택한 올레 tv 특징
국내 최다 채널 수, 최다 콘텐츠, 최고 화질
할리우드 화제작 최초 개봉 ‘올레 tv 초이스’
국내 극장에서 개봉하지 않은 할리우드 6대 스튜디오 화제작을 올레 tv에서만 매주 한 편씩 최초 개봉하는 서비스다. 이를 위해 KT는 워너 브러더스, 소니픽쳐스, NBC유니버설, 브에나비스타 인터내셔널, 파라마운트픽쳐스, 이십세기폭스 할리우드 6대 메이저 스튜디오와 손을 잡았다. 현재는 할리우드뿐 아니라 국내 독립영화를 포함해 인도, 홍콩 등의 작품성 있는 미개봉 영화로 서비스를 확대해나가고 있다.
가장 많은 부모님들이 선택한 No.1 키즈 tv ‘키즈랜드’
2019년 첫 선을 보인 ‘키즈랜드 영어유치원’은 미국 국공립학교 교재 출판사인 스콜라스틱(Scholastic)과 단독 제휴해 세계 최초로 IPTV를 통한 스콜라스틱 영어교육 콘텐츠를 제공한다. 스콜라스틱의 대표 리딩 프로그램 ‘퍼스트 리틀 리더스(First Little Readers)’ 학습 패키지를 미국 국공립학교 커리큘럼에 맞춰 5단계 레벨로 제공해 우리 아이 실력에 맞는 단계별 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국내 최고의 영어교육 전문가들이 단계별로 구성한 프리미엄 홈스쿨링 가이드를 제공해 부모가 집에서도 쉽게 영어교육을 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5060 꽃중년 세대들을 위한 특별한 공간 ’룰루낭만’
안방이나 거실에서 가장 오랜 시간 TV를 즐기는 50대 이상 중장년층을 위한 서비스다. 해외영화를 볼 때 작고 빠르게 지나가는 자막 때문에 힘들었던 시니어 이용자를 위해 최신 외화 더빙 서비스를 자체 제작해 업계 최초로 제공한다. KT는 품격 있는 시니어 서비스를 위해 국내외 최고 전문가가 만든 프리미엄 지식 콘텐츠 ‘SERICEO’를 올레 tv에서 단독 제공한다. 또한 여행·골프·낚시·와인 등 취미 콘텐츠부터 건강 관련 생활 정보까지 5060 중장년층의 관심 콘텐츠를 찾기 쉽게 구성했다.
KT OTT 서비스 ‘시즌(Seezn)’
5G, AI 기반의 모바일 미디어 서비스 시즌은 KT그룹의 미디어 역량과 IT기술을 접목한 통합 플랫폼 형태의 OTT(Over The Top)
오픈형 통합 플랫폼
시즌은 지상파 3사, JTBC를 포함한 종편, CJ ENM 등 다양한 콘텐츠를 한 곳에서 즐길 수 있는 오픈형 통합 플랫폼으로 웹드라마, 아이돌 라이브, 아이돌 예능 등 차별화된 오리지널 콘텐츠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음
시즌은 200여개 실시간 채널과 5만여편의 VOD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74개 타이틀 780편 이상의 오리지널 콘텐츠도 무료로 제공하고 있음 (전체 콘텐츠: 실시간 채널 210여개, VOD 24만편)
5G, AI 기반의 혁신 서비스
시즌은 5G와 AI를 접목해 초고화질, 초저지연 등 타 OTT와 차원이 다른 시청환경을 제공하고 있음. 특히 야구, 골프 등 스포츠 중계의 경우 5G의 빠른 속도에 힘입어 지연 시간을 1초대로 단축하였음
내 표정을 읽고 기분에 맞는 콘텐츠를 추천해주거나 사용 이력을 분석해 좋아할 만한 콘텐츠를 추천하는 AI 큐레이션 기능을 제공하고 있음
보고 듣고 참여하는 OTT
시즌은 타 OTT 플랫폼과 달리 화질에 따른 가격 차등없이 누구나 초고화질(4K UHD)로 시청이 가능. 국내 최초로 모바일 사운드 최적화 솔루션인 VSS 슈퍼 사운드가 적용돼 스마트폰에 최적화된 시청 환경을 제공하고 있음. 멀티뷰 생방송은 물론 출연진과 시청자간 실시간 채팅이 가능하며, 지니 스마트 음악감상까지 가능해 보고, 듣고, 참여하는 OTT로 진화하고 있음
AI연구소
editor_최보원 과장
SCROLL DOWN
KT AI 연구소는 ‘AI 테크 센터(AI Tech Center)’를 포함 총 5개의 담당과 3개의 팀으로 조직화 되어 있으며, 총 AI 연구내에만 259명의 국내 유수의 AI전문 인력으로 구성
세계 최고의 ‘음성 분리(Speech Separation)’ 기술을 포함 국내 최고 72건의 특허 및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중 음성인식 및 P-TTS
(Personal Text to Speech) 관련 기술력은 국내 최고 수준
영상 처리 기술과 관련하여 객체 분류, 얼굴 인식, 피플카운팅, 행동 분석, 차량 번호 인식, 개인화 체크 등의 기술 보유
감성·언어 지능, 영상·행동 지능, 분석·판단 지능, 예측·추론 지능 개발에 강점이 있음
AI 테크 센터는 KT AI 연구소의 자체 개발 기술과 Global Player의 기술과 솔루션을 평가하고 강점을 융합한 새로운 AI 서비스와 기술을 만드는 이정표 역할 수행
AI 테크 센터에는 약 2백만개의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코어가 장착된 슈퍼컴퓨터 클러스터가 구축되어 음성인식, 영상분석 등 AI 연구 개발을 수행
AI 테크 센터에서 협력 중이거나 예정인 프로젝트는 약 40여 건으로, 금융 서비스와 네트워크 및 미디어 서비스들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제휴 및 협력을 추진 중
AI 테크 센터의 2020년 집중 연구 분야는 인공지능 플랫폼 강화, 3rd party 확대, KT의 AI 디바이스 라인업 확대, 그리고 인공지능 교육시장 공략 위한 각종 솔루션 개발임
KT는 KT AI연구소에 AI 산업을 일으키는 핵심을 인재확보로 보고, KAIST, 한양대, ETRI와 함께 인재양성 플랫폼을 조성할 방침
인재양성 플랫폼에서는 중소기업, 벤처, 학생들이 갖고 있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새로운 AI 카테고리를 추구하고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의 고성능 컴퓨팅 자원과 학습용 데이터, 온/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 등을 제공할 예정
누구나 쉽게 참여하고 접할 수 있는 ‘산업 실무형 AI 교육 과정’을 개설해 각 산업 영역 별 특성에 따른 기술인력 양성
KT AI 연구소는 올해 더 똑똑하고 감성적인 AI 핵심 기술 개발 및 사업화를 중점 목표로 설정
특히, 사용자의 다양한 이용 환경을 고려하여 이동성을 갖춘 인공지능을 출시하고 다양한 환경에서도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있도록 개발할 방침
또한, 인공지능 서비스 확산 및 AI 기술 발전을 선도하고, 중소기업과의 상생 B2B 프로그램을 통해 공동 발전 방안 추진 예정
클라우드
editor_양은선 과장
SCROLL DOWN
KT, 국내 최초 클라우드 서비스 출시
KT는 2010년 국내 최초 클라우드 서비스 시작 이후 시장의 변화와 규제에 대응하여 공공 G-Cloud 1호 인증 등 새로운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도입, 클라우드 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자체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클라우드, PaaS, SaaS 서비스를 통합 제공 가능한 유일한 사업자
History
Why KT 클라우드?
국내 최초 5G 기반 Cloud 서비스 출시
국내 최초 5G Edge Cloud 서비스를 기반으로 AI, Bigdata 등의 플랫폼 서비스를 융합하여 제조, 미디어, 의료 등
다양한 산업별 특화서비스를 제공
국내 유일 자체 데이터센터 기반 Hybrid Cloud 서비스 제공
KT IDC 및 고객사 데이터센터와 KT Cloud를 손쉽게 연결하여 E2E 통합관제 및 운용 서비스를 제공
국내 최고 서비스 운영 노하우 보유
2011년 국내 최초로 Public Cloud 서비스를 출시하여 7천여 기업/공공 고객을 대상으로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
비용 절감
고객 비즈니스 상황에 맞는 다양한 사양과 요금제를 제공하여 초기 비용 부담을 대폭 감소
국내 최대 네트워크 트래픽 제공
KT 프리미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타사 대비 최대 2,000배의 트래픽을 무료로 제공(VM당 2TB/월)
글로벌 수준 SLA, 강력한 보안 안정성 제공
글로벌 수준의 99.95% SLA 품질을 보장하며 DDoS, Firewall 등으로 사전 침입차단과 NW분리 등
강력한 보안을 제공
주요 사업
1. 금융 클라우드
금융 Cloud
지난해 금융 Cloud 가이드라인 개정으로 금융기관의 중요 데이터를 퍼블릭 클라우드에 수용할 수 있게 되었음. 이에 KT는 국내 최초로 서울 양천구의 ‘목동IDC2센터’에 금융 전용 클라우드를 오픈하고, 국내 첫 민간 금융 클라우드인 KEB하나은행의 ‘GLN플랫폼’을 비롯해 ‘제로페이 포인트 플랫폼’ 등 다양한 금융 관련 서비스를 수용하였음
KT는 금융감독규정개정안 시행 전부터 프라이빗 환경 기반 보안이 강화된 ‘VPC(Virtual Private Cloud)’와 ‘금융전용 클라우드 보안데이터센터(FSDC)’를 운영해왔음. 전자금융 솔루션 업체인 ‘웹케시’와 ‘제노솔루션’과도 협업해 전자금융업 등록과 같은 행정절차 전문 컨설팅도 지원. 70여 개의 금융사와 핀테크 기업이 원활히 사업을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됐다는 평가
2. 공공 클라우드
공공 Cloud
KT는 2015년 국내 1호 공공 G-Cloud를 구축하였으며, 2016년 10월 국내 최초로 보안 인증을 획득하였음. 현재 공공기관 300여곳 이상에서 KT G-Cloud를 활용하고 있음
최근에는 공공 기관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해 기존 고객사가 직접 구축하던 사업을 대신 구축해 주고 월 이용료를 받는 서비스형 모델을 개발 및 확대하고 있음
3. 기업전용 클라우드
기업전용 Cloud
KT의 기업전용 클라우드는 프리미엄 엔터프라이즈 보안 존을 통해 보안을 강화하였음. 고객사의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해 물리IPS, 물리FW, 보안전문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며, 현재 7천개의 기업/공공 고객이 이용할 정도로 안정성을 인정받고 있음
4. 5G 엣지(Egde) 클라우드
KT는 지난해 4월부터 5G 융합 Cloud의 핵심적인 인프라인 초저지연 5G IT 엣지 클라우드를 운영하고 있음. 중앙 데이터센터에 1:1 구조로 접속하여 직접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다른 통신사의 5G 서비스와 달리, KT 5G IT 엣지 클라우드는 중앙 데이터센터가 아닌 사용자와 가장 가까이에 있는 클라우드에 접속하여 데이터 속도 지연을 획기적으로 단축하였음
현재 프로야구 Live를 비롯한 총 5종의 상용 서비스를 5G IT 엣지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Edge Infra, Edge CDN, Edge Platform 등 B2B 영역으로 서비스 적용범위를 확대할 예정. 이를 통해 OTT, 게임 서비스는 물론 스마트 팩토리 등에도 진정한 5G 네트워크를 구현할 계획
5G 융합 클라우드
KT는 5G 시대를 맞아 AI, BigData, IoT, 블록체인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상품화하는 동시에, 5G 융합 Cloud를 제공할 예정. Smart City, Smart Factory, Connected Car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기업고객들의 비즈니스 혁신을 지원할 계획
PaaSㆍSaaS 확대를 위해 기가지니를 비롯해 지역화폐 김포페이, 미세먼지 측정 앱 Air Map, 서비스형 블록체인 ‘GiGA Chain BaaS’와 빅데이터 플랫폼 ‘콘스탄틴’ 등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을 조성하였음
KT는 2023년까지 신규투자 5천억원, 전문인력 1000명 육성을 통해 매출을 5배 이상 성장시키는 공격적인 투자 및 매출확대 전략을 추진할 계획. KT의 시도가 시장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효과는 2023년 기준 약 3조원 수준이며, 국내 Cloud 시장은 2018년 2조시장에서 2023년에 7조원 이상으로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
KT 1등 그룹사
(지니뮤직, KT SAT, KT서브마린)
editor_배지훈 과장
SCROLL DOWN
지니뮤직
실감형 음악 시대를 선도할 대한민국 대표 음악기업
음악을 넘어선 Next Content 제공을 통한 5G 미디어플랫폼시장 선도
회사명
주식회사 지니뮤직
(GENIE MUSIC Corporation)
대표이사
조 훈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15(L7Hotels 6,7,8층)
주요주주
(36.0%)
(15.4%)
(12.7%) ('19.3 기준)
설립일
1991년 2월 7일
History
2019지니뮤직-엠넷 통합, 통합플랫폼 지니 출범
2018CJ 디지털 뮤직 합병, CJ ENM 주주로 참여
2017LGU+ 주주로 참여, ‘지니뮤직’으로 사명 변경
2014KT 음악서비스 ‘지니’ 사업 양수
2013‘KMP홀딩스’ 합병으로 유통사업 확장
2011서비스 명칭 변경 ‘dosirak(도시락)’ → 올레뮤직
2009KTF 음악사업부문 ‘dosirak(도시락)’ 영업양수, ‘kt music’으로 사명 변경
2007KTF 계열사 편입
주요산업
1. 음원 서비스
2. 콘텐츠 사업
Global Top Contents Leader로 시장 주도
콘텐츠 제작/투자
1. 경쟁력 있는 창작자에 대해 지분∙선급∙MG 형태의 투자
2. 음악 콘텐츠 활용 다양한 부가사업 및 마케팅 진행
콘텐츠 유통
1. 지니뮤직, CJ ENM 유통 음원을 국내외 플랫폼에 공급
2. MLP(Master License Provider) 사업을 통해 통신사 등에 합법적으로 음악 콘텐츠를 공급하고 투명한 정산 진행
3. 음악 콘텐츠 시장 활성화
지니뮤직 페스티벌, 지니뮤직 어워드 등 방송사 콜라보 통한 음악 콘텐츠 시장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 프로모션 진행
KT SAT
대한민국 유일 위성 서비스 기업
KT SAT은 국내 유일의 통신위성 보유 기업으로 위성 기반의 IT 인프라 및 운용 역량을 바탕으로 위성/ICT 서비스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음
설립
2012년 12월 분사
자산
6,512억원 (2019년 기준)
매출
1,680억원 (2019년 기준)
위성수
5기
종업원
191명
History
1970년 금산 지구국 개국, 1995년 무궁화위성 1호 발사를 시작으로 위성 운용 분야에서 독보적인 전문 역량을 보유하고 있음. 2017년 무궁화위성 7호 및 5A호 발사를 바탕으로 글로벌 사업자로 발돋움 계획
KT SAT 위성 운용현황
현재 무궁화위성 5호, 6호, 컨소시엄형태의 콘도샛, 무궁화위성 7호, 5A호 등 총 5기의 위성을 운용 중
주요 사업
1. 위성 중계기 임대
위성망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축 등을 목적으로 국가기관, 방송사, 기업 등에 위성 중계기 대역을 임대하고 있음. 국내외 방송 중계, 위성방송 등에 활용
2. 비디오 전송
위성망을 이용하여 각종 영상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서비스로 위성고정비디오(TVRO), SNG 서비스 및 국내 방송사의 콘텐츠를 해외로 송출하거나 해외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국내로 수신하는 서비스
<위성고정 비디오(TVRO)>
기업이나 교회 등의 사내방송, 원격설교 등을 위해 TV신호를 실시간/VOD로 동시에 시청할 수 있도록 전송해주는 서비스
<해외 위성방송>
국내 방송사의 콘텐츠를 해외로 송출하고, 해외 방송사의 콘텐츠를 수신하여 지상파, IPTV, 케이블 등의 방송사에 제공(국제행사, 스포츠 중계 등)
<이동위성중계(SNG)>
지상망 구성이 어려운 지역이나 재해, 산악, 도서 지역에서 스포츠 중계, 뉴스 취재, 사건 중계 등 현장의 생생한 영상 및 음성을 전송하는 서비스
3. 데이터 전송
위성망으로 간편하고 신속한 전용 통시망을 구성하여 데이터, 음성, 화상회의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국내 위성전용, 해외 위성전용, 기업위성 인터넷 등이 있음
4. 해상 위성 서비스
<해상위성 전용 서비스>
선박에 소형 위성안테나를 설치하여 해상에서 데이터 통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인말새트>
지구정지궤도상의 4개의 통신위성을 이용하여 이동체(선박, 차량, 항공기, 휴대용단말기 등)와 전 세계 지상간 전화, 팩스, 데이터 등의 통신을 제공하는 국제위성이동통신
KT서브마린
1995년 국제통신과 인터넷 기반시설인 해저광케이블 건설 및 유지보수를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 해양전문 대표기업
불모지에 가까운 해양산업분야에서 해저광케이블 건설을 통해 축적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DP(Dynamic Positioning, 자동위치제어) 선박과 무인수중로봇(ROV, Remotely Operated Vehicle), 기타 장비를 활용하여 해저 전력/특수 케이블, Flexible Pipeline 설치 및 유지보수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음
주요연혁
사업영역
1. 해저케이블 설치 및 유지보수 분야
해저케이블 전문 포설 선박을 이용하여 국가간 통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해저통신케이블을 설치 및 관리하는 사업 분야. 심해에서도 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선박 세계로호 ,리스폰더호, 미래로호와 무인수중잠수정 및 매설기 등을 이용하여 공사 수행
2. Offshore 사업분야
해양심층수 파이프라인 설치, 해저 석유 및 가스관 설치와 조사, 해저통신 케이블 및 전력케이블 설치, 육지와 해상/플랫폼 간 Umbilical 케이블 설치 등의 서비스 제공
주요 시설 및 장비
국내 유일 해저케이블 건설, 수리 선박 보유
1. 케이블 선박
<세계로호>
해저케이블 건설 전용 선박(YZ유지보수 선박) | ||||
---|---|---|---|---|
건조연도 | 총 길이 | 폭 | 총톤수 | 수용인원 |
1998년 | 115.8m | 20m | 8,323t | 62명 |
<Responder호>
해저케이블 건설 전용 선박(통신/전력/Offshore) | ||||
---|---|---|---|---|
건조연도 | 총 길이 | 폭 | 총톤수 | 수용인원 |
2000년 | 105.5m | 20m | 6,298t | 68명 |
<미래로호>
해저케이블 건설 및 해저탐사 등 다목적 선박 | ||||
---|---|---|---|---|
건조연도 | 총 길이 | 폭 | 총톤수 | 수용인원 |
2008년 | 70.05m | 14.95m | 1,999t | 52명 |
2. 무인수중잠수정(ROV)
해저탐사 시 또는 매설이 곤란한 지점(케이블 교차 지점)에 무인수중잠수정이 투입되어 포설 및 매설 작업을 진행하며, 매설된 케이블의 매설 점검 및 재매설 등에도 이용됨